맨위로가기

요한 게오르크 하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게오르크 하만은 1730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난 독일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다. 그는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지만, 상업 회사에서 일하며 철학을 탐구했다. 런던에서 신비로운 경험을 통해 기독교로 개종한 후, 계몽주의를 비판하고 신앙을 철학의 근본으로 삼았다. 하만은 데이비드 흄의 영향을 받아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성은 언어이다"라는 명제를 제시했다. 그의 사상은 반계몽주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헤르더, 괴테, 칸트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계몽주의 - 조제프 드 메스트르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계몽주의와 반합리주의를 주창하고 정부의 권위는 종교에서 기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상가이자 외교관이다.
  • 반계몽주의 - 프랑스 혁명에 관한 성찰
    《프랑스 혁명에 관한 성찰》은 에드먼드 버크가 프랑스 혁명을 비판하며 쓴 책으로, 전통 파괴와 추상적 원칙 맹신을 지적하고 혁명의 폭력과 독재를 예측하며 보수주의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 슈투름 운트 드랑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1749년 독일에서 태어난 시인, 소설가, 극작가, 과학자, 정치가로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파우스트》 등의 작품을 남기고 자연과학 연구와 정무 활동을 하였으며, 독일 고전주의 문학 확립에 기여하였다.
  • 슈투름 운트 드랑 - 질풍노도
    《질풍노도》는 18세기 후반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으로, 자연적 개성을 존중하고 감정적 극단과 주관성을 강조하며,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실러 등의 작가들이 반귀족적 경향의 작품을 발표했다.
  • 칼리닌그라드 출신 - 알프레트 클렙슈
    알프레트 클렙슈는 19세기 독일의 수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강체 탄성 이론》, 파울 고르단과 함께 쓴 《아벨 함수 이론》, 《이진 대수 형식 이론》 등이 있다.
  • 칼리닌그라드 출신 - 레오폴트 예스너
    레오폴트 예스너는 독일의 연출가이자 영화 감독으로, 자연주의적 장치를 없앤 계단 무대와 새로운 조명 기술을 활용한 표현주의적 연출을 시도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영화 《뒷계단》, 《대지의 정령》, 《메리 앤》 등이 있다.
요한 게오르크 하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요한 게오르크 하만
출생일1730년 8월 27일
출생지프로이센 왕국 쾨니히스베르크
사망일1788년 6월 21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뮌스터 주교후국 뮌스터
학력
모교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1746–1751/52; 학위 없음)
사상 및 철학
학파/전통독일 관념론
대항계몽주의
슈투름 운트 드랑
주요 관심사미학
인식론
언어철학
심리철학
역사철학
정치철학
영향 받은 인물오컴의 윌리엄
루터
칼뱅

크누첸
영향을 준 인물괴테
헤겔
헤르더
야코비
키르케고르
밀뱅크
셸링
크라우스
비트겐슈타인
벌린
주요 사상"이성은 언어다" ("Vernunft ist Sprache")

2. 생애

요한 게오르크 하만 (20세기 그림)


요한 게오르크 하만은 1730년 8월 27일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옛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났으며, 칸트보다 6살 아래였다. 1746년 알베르티나 대학교 쾨니히스베르크에 입학하여 크누첸 교수의 제자가 되었고, 이 인연으로 칸트와 친구가 되었다.

1752년 대학교를 중퇴하고 친구 베렌스의 주선으로 리가에서 "베렌스 상회"에 취직했다. 1756년 베렌스 상회의 업무 및 프로이센을 위한 정치적 사절로 런던에 파견되었으나, 업무 실패와 방탕한 생활로 자기 상실에 빠졌다. 그러나 1758년 성경을 읽고 회심하여 기독교 신앙에 귀의했다.

1759년, 베렌스의 누이에게 청혼했지만 거절당하고, 베렌스 상회를 나와 고향인 쾨니히스베르크로 돌아갔다.[2] 친구인 칸트는 하만을 설득하려 했지만, 하만은 기독교인에게는 신에 대한 기도야말로 일이 된다고 생각했다.[2] 하만은 이러한 자신의 사상을 담아 대표작 「소크라테스 회상록」을 저술했다.[2]

2. 1. 초기 생애 (1730-1756)



하만은 1730년 8월 27일,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옛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외과의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칸트보다 6살 아래이다. 양친은 교육열이 높았고 하만도 어린 시절부터 프랑스어, 그리스어, 그림, 음악 등 다양한 교육을 받았다. 그러나 교사의 역량 부족으로 어학 교육이 부적절하여 평상시 대화에서 경쾌하고 이해하기 쉬운 문법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했다. 이는 이후 하만의 난해한 문장을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었다.

1746년 알베르티나 대학교 쾨니히스베르크(Königlichen Albertus-Universität Königsbergde)에 신학생으로 입학했다. 철학에서 물리학까지 담당했던 크누첸 교수의 제자가 되었다. 크누첸은 칸트에게 뉴턴 물리학을 가르친 인물이기도 하며, 이 인연으로 칸트와 하만이 친구가 되었다. 당시 쾨니히스베르크는 피에티즘의 거점이었으며, 크누첸은 피에티즘과 당시 왕성했던 계몽주의와의 조화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

크누첸 외에도 하만에게 큰 영향을 준 인물은 카를 하인리히 라포르트로, 이 대학에서 영국 철학을 강의했다. 그는 계몽 사상에 경도되어 영국 철학과 프랑스 철학을 하만 등 학생들에게 가르쳤다. 이로 인해 하만은 신학에서 멀어져 시학, 문헌학, 예술, 미학 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하만은 요한 크리스토프 베렌스, 요한 고트헬프 린트너와 공동으로 잡지 "다프네"(Daphne)를 발간하여 도덕, 종교, 사회 등을 논하며 상당한 평판을 얻었다.

2. 2. 런던에서의 회심 (1756-1759)

하만은 1752년 대학교를 중퇴하고 친구 베렌스의 주선으로 베렌스 일가가 리가에서 경영하는 "베렌스 상회"에 취직했다. 베렌스는 하만이 형이상학적 체계를 버리고 실용적인 학문(현재의 경제학이나 경영학에 상당하는 것)을 익혀 사회에서 쓸모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랐다. 하만은 베렌스 상회의 경제 이론을 옹호하는 경제 연구를 하며, 중상주의를 계몽 사상과 결합시키는 경제 사상 연구에 몰두했다.

1756년, 하만은 베렌스 상회의 업무 및 프로이센을 위한 정치적 사절로 런던에 파견되었다. 당시 쾨니히스베르크를 다스리던 동프로이센은 러시아의 침략을 받고 있었고, 영국은 프로이센을 지원하려 했기에 이와 관련된 사명도 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하만은 런던에 간 목적을 평생 비밀로 했기에 진상은 불명이다.

하만은 런던에서 도시 생활에 실망하고, 업무 실패와 방탕한 생활로 자기 상실에 빠졌다. 폭음, 폭식, 정교까지 일상화하며 베렌스 상회에서 받은 돈을 모두 써 버리는 등 인생의 밑바닥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1758년 3월, 성경을 읽고 자신의 죄를 뉘우치며 회심하여 기독교 신앙에 귀의했다. 그는 자신의 이성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가 깨졌으며, 인간은 맹목적인 존재이기에 자신의 이성이 타인에게 올바른 길을 제시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러한 하만의 사상 전환기는 "런던에서의 회심"으로 불린다. 이는 파스칼이나 아우구스티누스 등에게서도 나타나는 경건주의 사상가의 내성적 기술이다.

1758년 7월, 하만은 런던을 떠나 리가로 귀국했다. 베렌스 상회는 그의 실패를 탓하지 않고 기꺼이 맞이했다. 하만은 이후에도 베렌스 상회에서 일했지만, 이전과는 태도가 달랐다. 이 무렵 하만은 "한 그리스도인의 성경 고찰"과 "나의 생애를 회상하며"를 저술했다.

2. 3. 쾨니히스베르크의 소크라테스 (1759-1788)

1759년, 하만은 베렌스의 누이인 카타리나에게 청혼했지만 거절당했다. 회심 후 매일 신에게 기도하고 참회하는 하만을 보며 상인의 정신을 심어주려 했던 베렌스는 더욱 당황했다. 결국 파국으로 끝나고 베렌스 상회를 나와 고향인 쾨니히스베르크로 돌아갔다.[2] 베렌스는 하만을 유능한 상인으로 다시 되돌리기 위해 친구이자 철학자인 임마누엘 칸트에게 협력을 요청하여 하만을 설득하려 했고, 리가에서 쾨니히스베르크로 급히 향했다.[2] 베렌스와 칸트는 과거 하만 자신이 칭찬했던 유능한 상인으로 되돌리려 설득했지만 역부족이었다.[2] 칸트 등의 충고에 경의를 표하면서도, 하만은 기독교인에게는 신에 대한 기도야말로 일이 된다고 생각했다.[2] 이는 당시 프로이센을 지배하던 프리드리히 대왕의 계몽 전제 군주에 의한 국가 지배에 대한 항의라고 칸트에게 말했으며, 자신의 특이한 생각도 자각하고 있었기에, 무직자로 만족하려는 것만은 아니었다고 한다.[2] 이러한 자신의 사상을 담아낸 것이 대표작인 「소크라테스 회상록」이다.[2] 하만은 칸트에게 루소의 작품을 소개하기도 했다.[2]

3. 사상

하만은 자율적이고 비실체적인 이성계몽주의에 대한 불신으로, 에 대한 믿음이야말로 철학의 골치 아픈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결론 내렸다. 그는 "나는 논리적 증명을 품위 있는 소녀가 연애 편지를 보는 방식과 같이 본다"라는 재치 있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14]

칸트의 전기 작가 중 한 명은 칸트와 하만을 다음과 같이 비교했다.

하만은 의 영향을 크게 받아, 지식보다는 믿음과 신념이 인간의 행동을 결정한다고 확신했다.[13] 또한 개념의 효능은 그 개념 자체의 특성이 아니라, 그것이 반영하는 습관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하만 자신의 표현에 따르면 칸트는 이성에 대해 "플라톤주의"자였으며 이성이 비실체적이라고 믿었고, 하만은 이성이 실체적이라고 믿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였다.

3. 1. 계몽주의 비판

하만은 이성계몽주의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에 대한 믿음이야말로 철학의 골치 아픈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결론 내렸다.[14] 그는 흄의 영향을 크게 받아, 지식보다는 믿음과 신념이 인간의 행동을 결정한다고 확신했다.[13]

하만은 칸트가 이성에 대해 플라톤주의적 입장에서 이성이 비실체적이라고 믿은 반면, 자신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입장에서 이성이 실체적이라고 믿었다고 표현했다. 또한 개념의 효능은 그 개념 자체의 특성이 아니라, 그것이 반영하는 습관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하만은 소크라테스 회상록을 통해 당시 프로이센을 지배하던 프리드리히 대왕의 계몽 전제 군주에 의한 국가 지배에 대해 비판하며, 기독교인에게는 신에 대한 기도야말로 일이 된다는 자신의 사상을 피력했다.

3. 2. 언어 철학

그의 철학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언어에 대한 생각이었다. 이는 종종 비트겐슈타인과 같은 분석 철학이 언어적 전환을 하는 데 선구자로 여겨진다.[19] 그는 "이성은 언어이다"("Vernunft ist Sprache")라고 말했다.[19] 하만은 칸트물자체현상 영역 간의 다리가 언어이며, 언어는 물자체적 의미와 현상적 문자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3. 3. 신학 사상

하만은 모든 창조물이 우리가 해석해야 할 신으로부터의 기호라고 믿었다.[18] 그는 물질적 구현을 통한 신성한 메시지의 전달, 즉 속성교환이 그리스도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 행동을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주장했다. 하만은 "이 신성한 그리고 인간적인 속성교환은 근본적인 법칙이자 우리의 모든 지식과 전 가시적 질서의 마스터키이다."라고 말했다.[17]

3. 4. 음악

하만은 류트 연주자였으며, 당시 쾨니히스베르크에 살던 우크라이나 출신의 거장 티모피 빌로흐라드스키(실비우스 레오폴트 바이스의 제자)에게 류트를 배웠다.

4. 영향 및 유산

하만은 반계몽주의를 촉발한 요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0] 그는 헤르더의 스승이었으며, 괴테, 야코비, 헤겔, 키르케고르, 레싱, 멘델스존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0]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는 자신의 저서 ''신학적 양식 연구: 평신도 양식''(영문 번역판 ''주의 영광'' 시리즈 3권)에서 하만에게 한 장을 할애했다.[20] 최근에는 오스왈드 바이어(루터교), 존 밀뱅크(성공회),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동방 정교회)와 같은 신학자들의 저작에서도 하만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20] 찰스 테일러는 자신의 저서 ''언어 동물: 인간 언어 능력의 완전한 형태''(2016)에서 하만을 빌헬름 폰 훔볼트, 헤르더와 함께 언어의 창조적 힘과 문화적 특수성을 강조한 "HHH" 접근 방식에 영감을 준 인물로 평가했다.[20]

최근 학계에서는 하만을 "급진적인 계몽주의자"로 보는 아이제이아 벌린의 견해와,[21] 그를 떠오르는 계몽주의, 특히 칸트에 대한 반작용으로 루터교 신학의 결과를 가져온 전근대-포스트모던 사상가로 보는 오스왈드 바이어의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22]

5. 저작

하만의 저술은 짧은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가지 경향을 보인다. 첫째는 동시대 사람들의 작품에 비해 짧다는 점이다.[6] 둘째는 광범위한 암시와 확장된 비유를 즐겨 사용한다는 점이다.[6] 그의 작품은 또한 다른 사람의 작품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사상을 전개했다.[6] 예를 들어, 그의 작품 《광야의 설교자에 의한 골고다와 셰블리미니!》(1784)는 모세 멘델스존의 《예루살렘, 또는 종교적 힘과 유대교에 관하여》(1782)에 반하는 것이었다.[15]

하만은 《소크라테스의 기념비》에서 소크라테스의 이미지를 사용했는데, 이 에세이에서 하만은 계몽주의가 이성에 의존하는 것을 비판한다. 《Aesthetica in nuce》에서 하만은 미적 경험의 중요성과 직관을 통해 본질을 파악하는 천재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계몽주의에 반박한다.

그의 저작 일부는 크라머에 의해 "북방 마법사의 시빌린 잎사귀"(1819)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으며, 로트에 의해 전집이 출판되었다(7권, 1821–25, 비너의 부록 및 설명 1권, 1843). 길데마이스터가 편집한 "북방 마법사 하만의 생애와 저작"은 5권으로 1857–68년에 출판되었으며, 페트리가 편집한 그의 "저작과 서한"의 신판은 4권으로 1872–74년에 출판되었다.[16]


  • 『북방의 박사·하만 저작선』, 가와나카고 요시카츠 역, 충적사, 2002년

6. 연구 및 평가

Johann Georg Hamann|요한 게오르크 하만de에 대한 연구 및 평가 자료는 다음과 같다.

저자저서명출판사출판 연도
가와나카고 요시카츠『북방의 박사·하만 저작선』충적사2002년
아이자이아 벌린『북방의 박사 J.G. 하만 - 근대 합리주의 비판의 선구』 (오쿠나미 카즈히데 역)미스즈 서방1996년
오스발트 바이어『요한 게오르크 하만 - 근원적인 계몽을 목표로』 (미야타니 나오미 역)교분관2003년
가와나코 요시카츠『하만의 사상과 생애 - 십자가의 사랑의 예언자』교분관1996년
가와나코 요시카츠『하만에서의 말과 육체 - 성서·자연·역사』교분관2023년


참조

[1] 문서 O'Flaherty 1979, p. 19
[2] 서적 Theology, Hermeneutics, and Imagination: The Crisis of Interpretation at the End of Moder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3] 웹사이트 Hamann's Influence on Wittgenstein https://www.nordicwi[...] Nordic Wittgenstein Review 2022-04-11
[4] 서적 Three Critics of the Enlightenment: Vico, Hamann, Herder London and Princeton 2000
[5] 서적 The Magus of the North: J. G. Hamann and the Origins of Modern Irrationalism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and Giroux
[6] 간행물 Johann Georg Hamann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01-22
[7] 논문 Reading "Sibylline Leaves": J. G. Hamann in the History of Ideas 2009-01
[8] 웹사이트 Johann Georg Hamann {{!}} German philosopher https://www.britanni[...] 2020-01-22
[9] 서적 Johann Georg Hamann Philosophy and Faith Springer 2012
[10] 간행물 "Die Vortheile unserer Vereinigung": Hamanns Dangeuil-Beylage im Lichte der Debatte um den handeltreibenden Adel http://www.degruyter[...] Beetz, Manfred / Rudolph, Andre (Ed.). Johann Georg Hamann: Religion und Gesellschaft (2012)
[11] 논문 Hamann's London Writings: The Hermeneutics of Trinitarian Condescenscion https://journals.sag[...] 2005
[12] 서적 After Enlightenment: The Post-Secular Vision of J.G. Hamann Wiley-Blackwell 2012
[13] 웹사이트 Johann Georg Hamann (1730—1788) https://www.iep.utm.[...] 2020-06-13
[14] 서적 The Life of Immanuel Kant https://archive.org/[...] Macmillan 1882
[15] 서적 Philosophy and the Jewish Question Fordham University Press
[16] 문서 Hamann, Johann Georg
[17] 서적 Writings on Philosophy and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2-06
[18] 서적 The Fate of Reason: German Philosophy from Kant to Fich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10-15
[19] 문서 Brief an Herder Insel Verlag 1784-08-08
[20] 서적 The Language Animal: The Full Shape of the Human Linguistic Capacit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21] 서적 After Enlightenment: The Post-Secular Vision of J. G. Hamann Wiley-Blackwell
[22] 서적 A Contemporary in Dissent: Johann Georg Hamann as a Radical Enlightener Eerdmans 2010
[23] 서적 Three Critics of the Enlightenment: Vico, Hamann, Herder London and Princeton 2000
[24] 문서 Brief an Herder Insel Verlag 1784-08-08
[25] 문서 O'Flaherty 1979, p. 19
[26] 서적 Theology, Hermeneutics, and Imagination: The Crisis of Interpretation at the End of Moder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7] 문서 북방의 현자 또는 북방의 박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